학회뉴스

제        목 제2회 실무 아카데미 후기
작  성  일 2024-07-15
첨부파일


대학생/대학원생의 취업 정보 제공, 실무자들의 업무 전문성 향상

 

1. 교육목적

계약관리위원장(이윤홍)은 2024년 7월 8일 ~ 7월 11일(4일간) 동안 고려대학교 미래융합기술관에서 제2회 실무 아카데미 교육을 진행하였다. 대학생·대학원생(건축·도시·부동산전공)들에게는 취업의 정보를 제공하고, 업종에 따른 업무의 특성을 이해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들에게는 업무 전문성 향상을 위해 사업단계별로 발생하는 위험요인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등을 설명하였다.

교육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오프라인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강의 완료 후 문의 사항을 청취하는 등 교육의 만족도를 높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건축설계, 도시계획, 감정평가, 부동산시장 분석, 개발사업(정비사업·민간사업·플랜트사업), 신도시개발, 부동산금융, 사업수지 분석(Cash-Flow), 부동산신탁, 건설구조, 건설분쟁, 친환경 건축 등의 총 15개 다양한 업무를 통해 각기 다른 실무를 경험할 수 있었다.

 



2. 강사진 구성
제2회 실무 아카데미 강사진은 각 분야에서 실무경험이 많은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해당 강사님들은 건축, 도시, 부동산 등의 다양한 현장경험을 통해 현재 산업계의 현황과 직무 정보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실무를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은 학교에서 얻지 못하는 직무 정보를 습득하고, 본인에게 맞는 업종을 선택할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실무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본인의 직무에서 경험하지 못한 업무를 경험하게 되었고, 사업성 검토 방식과 위험 요인을 알게 됨으로써 업무의 전문성을 익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1일차]
① 건축설계: 건축설계의 변화와 비전 (김보현 포스코 A&C 부장)
건축설계의 역할(디자인 제안·인허가 대행·시스템 코디·공사비 관리), 건축설계의 프로세스와 건축설계의 변화(BIM·AI·모듈러 건축)에 대해 설명하였다.
② 도시계획: 도시정비사업의 이슈와 사업화 방안 (이일희 제일엔지니어링 이사)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의 신도시, 토지이용규제와 토지이용계획,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축소도시, 미래를 준비하는 스마트시티에 대해 설명하였다.
③ 감정평가: 감정평가의 업무와 책임_정비사업 (이민지 대한감정평가 감정평가사)
정비사업에 대한 추진방법, 정비사업에 대한 조합원 분담금 산정 방법, 조합원의 자산가치에 대한 평가를 설명하였다. 
④ 부동산시장: 수익형 부동산시장 동향 및 흐름 (유명한 마스턴투자운용 전무)
대외적인 경제환경에 따른 부동산시장 변화와 수익형 부동산 상품(오피스·물류시장·호텔·백화점·대형마트)에 대한 변화와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2일차]
⑤ 정비사업: 도시정비사업의 이슈와 사업화 방안 (김기두 삼성물산 프로)

정비사업 프로세스, 정비사업의 이슈(공사비 인상·계약변경 등), 공사비 상승 원인과 공사비 분쟁 완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제언을 설명하였다.
⑥ 개발사업: 개발사업의 위험요소와 성공을 위한 전략 수립 (이세진 DL건설 팀장)
개발사업 프로세스, 개발사업의 구조와 금융권 자금조달 단계, 진행단계별 위험요소 및 극복방안, 사업성공을 위한 전략에 대해 설명하였다.
⑦ 플랜트사업 (이태훈 포스코 E&C 부장) 
플랜트의 특징 및 사업영역, EPC 계약 및 PJT 전체 프로세스, 플랜트 종목별 공정 및 계통에 대한 개념 이해, 플랜트 사업의 비전에 설명하였다.
⑧ 신도시개발 (김영인 LH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장)  
3기 신도시 개요, GTX 교통시간의 혁신, UAM 미래 모빌리티와 Maas 구현, 신도시 UX와 DT에 대한 도시경쟁력 등의 미래 신도시개발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3일차]
➈ 부동산금융: 부동산 금융의 구조와 방안 (한정수 교보증권 상무)   
부동산금융(개발금융·PF·구조화방식), 부동산 PF 활용 및 절차, PF 실무 진단 체크리스트, 단계별 자금조달 사례 분석을 설명하였다.
➉ 사업타당성 분석: 부동산개발사업 사업타당성 검토 (김경준 SK D&D 부장)
분양형 개발사업: 매출, 원가 주요항목과 개발사례를 설명하였다.
운영형 개발사업: 매출, 원가 주요항목과 운영사례를 설명하였다. 
⑪ 부동산신탁: 부동산신탁의 업무와 비전 (강병욱 대한토지신탁 차장)
부동산 신탁의 개념과 상품종류, 부동산신탁업계 현황, 차입형토지신탁 실무 진행사례를 설명하였다.
⑫ 건설사 신용분석: 건설사 신용등급 산정 방식 (정성훈 NICE 신용평가 실장) 
신용평가의 기본적인 분석방법, 건설산업 특성, 최근 건설업황, 건설사 신용평가 방법을 설명하였다.

 

[4일차]
⑬ 건설구조: 건설구조적 위험과 관리방안 (전현수 롯데건설 팀장) 
건설현장 및 구조적 이해, 구조적 위험요인, 현장 관리방안, 최근 붕괴사고 사례와 극복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⑭ 건설분쟁: 건설분쟁 원인과 조정방안 (최성규 한국건설관리연구원 이사)
현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건설분쟁 원인과 이러한 분쟁을 극복하고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⑮ 친환경 건축물: 친환경/에너지 탄소중립 (조승연 HnC 건설연구소 대표)
탄소중립 실현과 제로 에너지 특징, 에너지 관련 법규 및 정책 방향, 통합설계 및 사례 등을 설명하였다.



 


3. 계약관리위원장 감사인사

4일 동안 교육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대외적으로 어려운 경제환경에서 건설산업의 위험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는 부동산시장 하락, 부동산 PF 위험 확대, 건설공사비 인상 등으로 사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건설산업과 연관된 기업은 인력을 최소화하고, 사업을 축소하는 내실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꿈을 잃지 않고 당당히 도전하는 젊은 대학생들에게 몇 가지 당부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 당장 편하고 안정적인 직장만이 좋은 직장이 아닙니다. 새로운 변화가 일상화되는 요즘 시대에서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합니다.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자세와 하고자 하는   열정이 본인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원동력입니다. 자기 개발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직장에 취직하기 위해서는 자격증 취득이 필수입니다. 경쟁력 있는 글로벌기업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외국어 구사 능력도 갖추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배우고자 하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직장인들도 본인이 경험한 것이 정답이 아닌 관계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공부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4일 동안 강의를 수료하신 수강생 여러분에게 감사 말씀드립니다. 



[작성자] 
* 이윤홍 계약관리위원장 /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 피오랜 대표, miso1036@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