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BIM 기술은 2010년 내외부터 건축 및 플랜트공사를 중심으로 활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토목공사의 활용 사례도 증대되고 있다. 초기에 실무 활용과정에서 BIM 개념은 3D도면과 설계단계의 간섭관리 중심으로 인식되었으며, 점차 시공 BIM과 BIM기반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스마트건설 시행 방침과 일정규모 이상 토목공사의 BIM 적용 의무화 등으로 토목 시설분야에도 적용 사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중에 출간된 BIM 도서 대부분이 3D모델링 매뉴얼 위주로 기술되어 있는 반면에, 본 도서에서는 건설정보화 기술의 개요부터 BIM 개념과 구비조건, 공사단계별 BIM 적용 실무와 효과, 4D/nD CAD 활용방안, Drone, 증강현실, 3D프린팅 등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까지 오롯이 BIM 및 관련 IT기술의 운영체계와 관련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서에서는 최근 LH, 한국도로공사와 철도시설공단 등 대표적 토목공사 발주기관에서 인프라 시설물의 3D설계지침 구성 등 BIM 활용 확대를 시도하고 있고, 정부의 토목시설 BIM 의무화 정책으로, 적용 확대가 예상되는 Infrastructure BIM에 대하여 자세한 실무적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토목시설에 특화된 BIM 도서로 활용될 수 있다.
● 제 목: 건설정보기술 BIM ● 출판사: 동화기술 ● 발간일: 2020년 3월 ● 자세한 목차 안내 [바로가기]